2010년 12월 15일 수요일

컴퓨터용 USB 연동 콘센트 만들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여러 주변기기들은 컴퓨터가 꺼지면 자동으로 꺼지는게 편리 할 것이다.
그래서 컴퓨터 USB에 연결하여 USB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전기가 흐르고 USB가 죽으면 전기가 차단되는 콘센트를 만들기 자료 :: 종명이의 홈페이지를 보고 만들었다.
프린터와 스피커 모니터 3가지는 컴퓨터와 함께 자동으로 켜지고 꺼지면 편리 할 듯 하다.

USB 연동 콘센트, 영어로 outlet, 그럼 콘센트는 어디서 온 놈이냐??


일단 부품은 간단하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게 전부다.
버리는 전자제품에서 잘라낸 전원선,굴러다니던 USB케이블, 나를 공부시킨 릴레이 ^^;

김종명님의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거와 비슷한 릴레이를 찾으려 엘레파츠디바이스마트에서
검색을 해봤는데 전자를 이제서야 배우기 시작하는 나로서는 찾을 수 없었다.
커다란 릴레이, 아주 고가의 릴레이, 그런건 맞지 않잖아  -.-
고민하고 헤메다가 내린 결론으로 SSR 릴레이를 사용했다.
조금 불안한 점은 전류용량이 2A로 좀 작지 않을까 싶지만
"뭐~ 스피커와 프린터 LCD모니터 정도는 버틸수 있을거야"라는 편한 마음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USB잭, 220V용 전원잭, SSR, 콘센트
검은색 네모가 SSR(SOLID STATE RELAY: 솔 리드 스테이트 릴레이)로  INPUT + - 부분에 4~32VDC와 LOAD 부분에 240VAC 2A라고 쓰여 있다. INPUT에 직류(DC) 4~32V 입력시 LOAD 부분에 스위치가 켜져 교류(AC) 전류가 흐르게 되고 허용 한도는 240V에 2A이다.

하늘색 전원선과 SSR에 이어 놓은 흰색 선은 콘센트에 연결될 선이다.
위쪽이 USB 연결선인데 USB 선은 잘라내고 피복을 약각 벗겨 냈더니 4개의 선이 나왔다.
검정(- GND), 빨강(+ 5V), 흰색하고 녹색(데이터용, 여기서는 사용안함)선들 중에서 5V USB 전원선인 검정과 빨강만 남기고 나머지는 잘라냈다.

 참고로 USB 규격은 인터넷에서 업어온 아래 이미지를 보시라.
USB와 IEEE 1394
다음 그림에서 가운데 검정 나사가 접지를 연결하는 곳인데
내가 사용한 전원선에는 접지가 없어 SSR에 연결된 선을 피복이 있는 부분 그대로 감아 조였다.
- 혹시 선을 당기더라도 쉽게 떨어지지는 않도록 하기위한 꼼수지만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듯하다. 또한 SSR과 선이 연결되는 부분도 구부리다 떨어져 납땜으로 땜질해 겨우 고정시켰다.
콘센트 안 공간이 조금만 넓었으면 좀 더 쉬웠을지도 모른다.ㅋ

완성하고 직접 연결해서 사용해보니
컴퓨터 전원이 꺼지면 당연히 컴퓨터에 있는 모든 전원이 차단될거라고 생각하고 만들었는데
만들고 보니 집에서 사용하는 데스크탑 USB 전원은 여전히 살아있다.
인터넷 검색으로 USB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을 검색해보니
보드에서 점퍼를 설정하는 경우와 CMOS 설정으로 하는 방법들이 있지만,
내가 사용하는 메인보드 GIGABYTE GA-M55S-S3는 설명서를 봐도 USB 대기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을 못찾겠다. 영어라는 벽 때문에 못찾았을 수도 있다.ㅠ.ㅠ

노트북에서 테스트하니 잘되던데  노트북과 연결해서 사용할 일은 없고
결국  사용 못하고 한쪽에 방치되는 신세가 됐다.

PS/2도 USB와 같은 5V가 사용된다는 안쓰는 구형 마우스 케이블을 사용해 볼까 생각중이다.
키보드의 LED가 꺼지는 걸로 봐서 PS/2는 전원이 차단되는듯 하다.
PC PS/2 connector

댓글 없음:

댓글 쓰기